2011년 1월 12일 수요일

마틴 루터 킹… “나에겐 꿈이 있습니다”

마틴 루터 킹… “나에겐 꿈이 있습니다”
 

1955년 12월1일 미국 앨라배마주 몽고메리시 몽고메리 페어의 창고에서 근무하는
재봉사 로자 파크스 부인은 클리블런드가로 가는 버스에 올라탔다.
42세의 그녀는 하루종일 이리저리 오가느라 피곤했다.
파크스 부인은 앞쪽 백인 좌석 바로 뒤 첫번째 열에 앉았다.
그녀가 앉자마자 버스 기사는 “방금 올라탄 백인 손님들이 앉아야 하니 흑인들이
앉는 뒤쪽으로 옮겨 앉으라”고 말했다.
그러나 뒤쪽에는 빈 자리가 없었다.
기사의 말을 따르면 그녀는 서서 가야 하고 늦게 탄 백인은 자리에 앉아 가게 된다.
파크스 부인과 함께 버스에 오른 흑인들은 운전기사의 말에 따랐지만 그녀는 조용히
그 자리에 앉아 있었다.
버스 기사는 경찰을 불렀고 그녀는 체포됐다.
흑인과 여성운동가들은 버스 안 타기 운동을 전개하기로 하고 덱스터 침례교회를 빌려 집회를 열기로 했다.
그 교회의 담임목사인 마틴 루터 킹은 그때까지 파크스 부인 사건을 알지 못했다.
당시 26세였던 킹목사는 그 해 보스턴대학교에서 갓 신학박사 학위를 받고 몽고메리로 부임한지 1년밖에 되지 않은
젊은이었다.
몇주전 킹목사는 목회에 전념하기 위해 ‘유색인들의 복지증진을 위한 전국협의회’ 의장직을 거절한 참이었다.
4일 뒤 집회가 열리는 날 킹목사는 준비회의에 조금 늦게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그에게 “당신을 의장으로 뽑았소”라고 인사했다.
흑인들이 저항한다는 사실에 백인들이 분노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의장은 그 증오의 창끝에 서는 일이었다.
킹목사는 천천히 대답했다.
“누군가 해야하는 일이라면”
그는 불과 20분 뒤 교회에 모인 5000명의 군중과 기자들 앞에서 연설을 해야 했다.
아무런 메모도 없이 연단에 오른 킹목사는 “우리는 억압당하고 짓밟히는 데 지쳤다”고 입을 열었다.
청중은 갈채를 보냈다.
텔레비전 카메라의 불빛이 그를 응시하고 있었다.
킹목사는 백인들의 폭력적 인종차별단체인 큐 클럭스 클랜(Ku Klux Klan·KKK단)의 행태와 시의회의 잔혹함을
언급하면서 흑인들은 평화적 방법과 그리스도의 사랑을 바탕으로 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버스 안 타기' 거부 운동이 시작된 것이다.
집에 돌아온 킹목사에게 조롱과 협박의 전화가 줄을 이었다.
그에게는 2년전 결혼한 아내와 태어난 지 몇 주 되지 않은 딸이 있었다.
그는 두 손으로 머리를 감싸고 책상 앞에 엎드렸다.
 “주님,저는 의로운 일을 위해 투쟁한다고 믿습니다.
제가 이렇게 무력하게 용기를 잃고 그들 앞에 서면 그들도 흔들릴 것입니다.
저는 더 이상 지탱할 수 없습니다”
그 순간 킹목사는 하나님의 임재를 경험했다.
이 때 “정의와 진리를 위해 일어서라. 내가 항상 네 곁에 있겠다”는 내적인 음성을 들었다고 그는 훗날 회상했다.
한달 뒤인 1956년 1월3일 밤 9시30분쯤이었다.
킹목사의 집 베란다에서 찢어지는 폭발음이 들렸다.
킹 목사 가족은 급히 다른 방으로 옮겨갔다.
그 때 또 한번 폭발음이 집을 뒤흔들었다.
유리조각이 깨지는 소리가 들리고 연기가 났다.
밖에서 연설중이던 킹목사는 즉시 집으로 돌아왔다.
집에는 많은 사람들이 모여 접근을 막는 경찰과 마찰을 일으키고 있었다.
모두 흥분한 상태였다.
시간이 갈수록 사람들이 늘어났다.
폭탄 폭발로 부서진 베란다에 오른 킹목사는 손을 들었다.
군중은 갑자기 조용해졌다.
그는 낮은 음성으로 말했다.
“제 아내와 아이는 무사합니다. 제발 무기를 버리고 집으로 돌아가십시오. 복수를 통해선 문제를 해결할 수 없습니다.
‘칼을 쓰는 자는 칼로 망한다’는 예수님의 말씀을 기억합시다. 백인 형제들이 우리에게 어떤 일을 하든 우리는 그들을
사랑해야 합니다. 우리는 그들을 사랑한다는 것을 보여줘야 합니다. 증오를 사랑으로 이겨야 합니다…내가 이 투쟁을
계속할 수 없을 때라도 하나님이 당신들과 함께 하는 한 이 운동은 계속 될 것입니다. 우리는 승리할 것입니다.
확신을 갖고 집으로 돌아가십시오”
사람들은 흩어졌다.
군중 가운데서 한 경관은 “흑인 목사가 아니었다면 우리는 지금 모두 시체가 됐을 것”이라고 중얼거렸다.
킹목사가 흥분한 군중을 진정시킨 일은 다음날 신문에 보도됐다.
사람들은 그를 흑인들의 위대한 지도자로 보기 시작했다.
그해 12월20일 연방법원은 버스 안에서의 인종차별은 위헌이라는 판결을 내렸다.
몽고메리의 흑인들이 버스를 타지 않은지 382일만의 일이었다.
킹목사를 비롯한 흑인 목사들은 그날 아침 일찍부터 하루종일 버스에 올라타고 다녔다.
운전기사에게 “당신의 버스를 타게 돼 기쁩니다”고 인사하고 앞자리에 앉아 승객들에게도 미소를 지었다.
흑인에게나,백인에게나.
마틴 루터 킹 목사는 1929년 1월15일 미국 조지아주 애틀랜타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와 외할아버지는 모두
침례교 전도사였다.
15세에 애틀랜타 모어하우스 대학에 입학한 그는 의학과 법학에 관심을 가졌지만 아버지가 원하는 대로 졸업후
신학교에 진학한다.
크로저신학교에서 그는 간디의 비폭력 철학과 현대 프로테스탄트 신학자들의 사상을 접한다.
신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한 뒤 보스턴대학교에서 파울 틸리히와 헨리 넬슨 위먼에 대한 논문을 섰다.
보스턴에서 그는 뉴잉글랜드 음악학교의 코레타 스콧을 만나 1953년 결혼하고 박사학위를 마친 해 코레타의 고향인
몽고메리로 부임한다.
몽고메리 흑인들의 비폭력 운동이 성공을 거두자 남부 도시 곳곳에서 비슷한 운동들이 일어났다.
노스캐롤라이나주 그린즈버러에서는 흑인 학생들이 백인들만 들어가는 식당에 들어가 연좌농성을 벌였다.
흑인과 백인이 함께 버스를 타고 남부지방을 순회하는 ‘자유의 여행’도 시작됐다.
남부 기독교지도자협의회에서는 흑인들의 투표권을 요구했다.
농성과 평화행진에 참여한 킹 목사는 여러 차례 체포당하고 법정에 섰다.
흑인 지도자에 대한 구속과 시위금지령 같은 탄압이 계속됐다.
곳곳에서 물리적인 충돌이 빚어졌다.
킹 목사의 비폭력 노선에 대한 비판이 나오기 시작했다.
실질적인 결실이 보이지 않는 데 대해 조바심을 느낀 흑인들은 점점 호전적으로 변해갔다.
1963년에는 10주간 186개 지역에서 750회 이상의 시위가 일어났다.
링컨 기념일인 8월28일에는 25만명의 군중이 워싱턴DC 링컨기념관 앞에 모였다.
연단에 선 킹 목사는 “나에게 꿈이 있습니다(I have a dream)”라며 연설을 시작했다.
“언젠가는 조지아의 붉은 언덕에서 이전 노예의 자녀들과 노예 주인의 자녀들이 형재애로 한 식탁에 앉을 것입니다.
언젠가는 앨라배마의 인종주의자들이 물러가고 거기서 나의 어린 아들과 딸이 백인의 아들딸들과 형재와 자매로 손에
손을 잡고 살아갈 것이라는 꿈입니다”
이듬해 킹목사는 35세라는 젊은 나이로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노벨 평화상을 받는다.
역대 최연소 수상자였다.
킹목사의 저항운동은 점차 흑인의 경계를 넘어섰다.
그는 흑인들만의 차별을 위해 운동하는 것은 다른 가난한 사람들의 적이 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흑인 인구의 반이 극빈계층에 속했지만 그 수는 전체 빈곤층의 5분의 1에 불과했다.
그는 모든 가난한 사람들의 사회적 혜택을 위해 노동조합들과 손을 잡고 투쟁했다.
그 즈음 미국 정부는 베트남 참전을 결정한다.
킹 목사는 “미국 정부가 베트남에서 한 사람의 적군을 죽이기 위해 50만달러를 쓰면서 미국내 빈곤 퇴치를 위해선
한 사람에게 52달러를 지출하는 것으로 만족하고 있다”고 비난하면서 “인종차별과 빈곤,전쟁이 상호 관련돼 있다”고
강조했다.
1968년 4월4일 테네시주 멤피스의 한 모텔에서 총성이 들렸다.
총을 쏜 사람은 제임스 얼 레이,총탄을 맞은 사람은 마틴 루터 킹 목사였다.
킹목사가 죽자 미국 전역의 63개 도시에서 폭동이 일어났다.
4월8일 애틀랜타에서 거행된 장례식에는 15만명이 참석했다.
흑인뿐만 아니라 백인들도 적지 않았다.
제임스 얼 레이는 몇년 뒤 미국 중앙정보부(CIA)가 자신을 암살범으로 고용했다고 털어놨다.
 
김지방기자
국민일보

댓글 없음:

댓글 쓰기